728x90 반응형 전체 글248 먹는 건선치료약 '네오티가손캡슐10mg'(아시트레틴)이란? 효능, 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feat. 피임, 헌혈) 오늘은 전신 건선 치료제로 허가받은 '네오티가손캡슐10m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오티가손캡슐이라는 약이 어떤 성분의 약이고 정확한 효능 및 효과가 무엇인지, 또 어떻게 먹는 약이고 주의할 사항들은 무엇이 있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네오티가손캡슐10mg' 이란? 네오티가손캡슐은 '레티노이드'라고 하는 건선용 특수 비타민A 유도체 성분으로 이루어진 전신 건선치료제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입니다. 네오티가손캡슐10mg의 자세한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네오티가손캡슐10mg의 성분과 함량 유효성분 - 분무건조아시트레틴 25% (40mg, Acitretin으로서 10mg) 네오티가손의 유효성분은 '분무건조아시트레틴25%(40mg)'이며 아시트레틴(Acitretin)으로서 10mg에 해.. 2023. 7. 24. 변증(辨證)이란 한의학에서 어떤 의미일까? 변증의 개념, 종류, 관련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feat. 팔강변증, 육경변증, 위기영혈변증) 이전 포스팅에서 한의약에서 인체를 어떻게 해석하고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해보았는데요. 오늘은 이런 내용들을 토대로 한의적 관점에서 병을 진단하는 방법인 '변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증과 관련된 한의학적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 2023.07.18 - [분류 전체보기] - 한의약과 동양철학 - (1) 음양, 오행 개념 기초 한의약과 동양철학 - (1) 음양, 오행 개념 기초 예부터 우리의 선인은 우주와 자연의 운행법칙을 밝혀왔습니다. 동시에 사람의 생로병사는 자연의 법칙과 상응한다는 것을 깨닫고 이론을 정립하여 왔습니다. 또한 질병 치료의 원칙도 자연 법 yakmulsajeon.tistory.com 2023.07.20 - [분류 전체보기] - 한.. 2023. 7. 23. 한의약과 동양철학 (4) - 경락(經絡), 병인(육음지사, 칠정내상, 담음, 어혈)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장육부와 관련된 '경락'이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한의약에서 바라보는 질병의 원인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들과 더불어 한의약의 이해에 기본이 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다소 길고 어렵더라도 천천히 보면 다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한의약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라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셔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보세요! 2023.07.18 - [분류 전체보기] - 한의약과 동양철학 - (1) 음양, 오행 개념 기초 한의약과 동양철학 - (1) 음양, 오행 개념 기초 예부터 우리의 선인은 우주와 자연의 운행법칙을 밝혀왔습니다. 동시에 사람의 생로병사는 자연의 법칙과 상응한다는 것을 깨닫고 이론을 정립하여 왔습니다. 또한 질병 치료의 원칙도 자연 .. 2023. 7. 22. 한의약과 동양철학 (3) - 정, 기, 혈, 진액, 신 오늘은 한의약과 동양철학 시리즈 3번째 시간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한의약에서 기반이 되는 음양오행과 오장육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음양오행이 무엇인지, 오장육부가 우리 체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알고 있다면 이번 글이 더 흥미롭고 이해가 잘 되실 것입니다. 만약 음양오행이나 오장육부에 대해 처음 들어보시거나 궁금하신 분이 있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첨부해둘테니 참고부탁드립니다. 2023.07.18 - [분류 전체보기] - 한의약과 동양철학 - (1) 음양, 오행 개념 기초 한의약과 동양철학 - (1) 음양, 오행 개념 기초 예부터 우리의 선인은 우주와 자연의 운행법칙을 밝혀왔습니다. 동시에 사람의 생로병사는 자연의 법칙과 상응한다는 것을 깨닫고 이론을 정립하여 왔습니다. 또한 질병.. 2023. 7. 20. 한의약과 동양철학 (2) - 장상학설(오장육부, 기항지부) 지난 포스팅 한의약과 관련된 음양오행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의약이 인체와 체내 기관 및 변화를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표현 중 '오장육부가 뒤틀린다'라는 말이 있는데요. 이 때 이 '오장육부'에 대해 연구한 학문이 장상학설입니다. '장상학설'. 벌써부터 낯선 단어인데 최대한 쉽고 간결하게 장상학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장상학설(藏象學設)이란? 장상(藏象)은 오장육부의 생리기능과 병리현상이 그 오장육부에 상응하는 외부 조직기관을 통하여 표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장상학설은 이렇게 외부로 나타나는 현상을 통해 내장기관의 생리와 병리변화 및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1) 오장(五臟) 오장은 심, 폐, 비, 간, 신의 다섯가지 내장기관입니다. 음양 속성으로 보.. 2023. 7. 20. 한의약과 동양철학 - (1) 음양, 오행 개념 기초 예부터 우리의 선인은 우주와 자연의 운행법칙을 밝혀왔습니다. 동시에 사람의 생로병사는 자연의 법칙과 상응한다는 것을 깨닫고 이론을 정립하여 왔습니다. 또한 질병 치료의 원칙도 자연 법칙에 순응하는 방향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그에 따른 방법을 모색하고 발전시켜왔습니다. 이렇게 탄생하여 발전한 의약을 한의약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이 한의약과 이에 관련된 대표적인 동양학설들의 개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한의약이란? 한의약 원리와 치료 이론에는 정체관념과 변증론치라는 두가지 기본 특징이 있습니다. 1) 정체관념 사람은 각각의 조직이 유기적이고 완전한 통일체로 움직인다. 인체 조직구성이나 생리활동이 절대로 분리될 수 없고 상호연계되고 영향을 주며, 병리적으로도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치료도 국소 .. 2023. 7. 18.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다음 728x90 반응형